Master protocol part 1
Advanced designs for clinical trial 수업에서 master protocol에 대해 배웠습니다. Master protocol은 하나 이상의 약과 하나 이상의 disease(ex : cancer)에서 효과를 살펴봅니다. 단일한 임상시험에서 살펴보는 것이지요. Master protocol이 등장하게 된 배경에는 precision ...
Advanced designs for clinical trial 수업에서 master protocol에 대해 배웠습니다. Master protocol은 하나 이상의 약과 하나 이상의 disease(ex : cancer)에서 효과를 살펴봅니다. 단일한 임상시험에서 살펴보는 것이지요. Master protocol이 등장하게 된 배경에는 precision ...
지난 10월 16일에 가짜연구소 RWE 가이드라인 스터디를 하였습니다. 인과추론 개념을 다루는 마지막 주였습니다. 다음주에는 FDA framework 가이드라인을 다룹니다. 이번에 다룬 주제는 statistics review와 graphical causal model에 관한 것입니다. Jaeyun Choi님께서 자료 제작하시고 발표하셨습니다. Stat...
Title FDA Perspective on the Regulation of AI in Health Care and Biomedicine Information Link https://jamanetwork.com/journals/jama/fullarticle/2825146 Citation ...
지난주 수요일에 가짜연구소 RWE(real world evidence) 가이드라인 스터디 첫 모임을 가졌습니다. Real world data로부터 real world evidence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인과추론 개념을 알아야 합니다.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인 comparability와 randomization에 대해 공부하였습니다. 두 군 사이의...
Clus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uster RCT)은 randomization 대상이 개인이 아니라 집단이다. 집단 단위로 무작위배정을 하는데, 병원, 학교, 지역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학교의 경우, 무작위 배정의 결과로 어떤 학교에는 A 처치를 하고, 어떤 학교에는 B 처치를 하는 것이다. 이 또한 RC...
오늘은 sample size calculation에서 중요한 \(\epsilon\)(예상되는 임상적 차이)과 \(\delta\)(margin)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어보려고 한다. 다음 수식은 두 평행군의 sample size를 구하는 공식이다. Z 분포를 활용한다. \(n\)은 sample size를 의미하고, \(\epsilon\)과 \(\de...
흉부 X-ray나 Mammogram과 같은 의료 영상에 폐암, 유방암과 같은 병변(lesion)이 있는 지 여부와 그 위치 정확도까지 전문가(Radiologists)나 Medical AI가 얼마나 잘 평가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척도가 여럿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Special ROC curves로 통칭한 이런 척도들에 대해 소개하려고 합니...
Info Breast imaging: understanding how accuracy is measured when lesions are the unit of analysis. Breast J. Nov-Dec 2012;18(6):557-63. doi: 10.1111/tbj.12009. Introduction Breast Cancer Pa...
Introduction to causal inference “실무로 통하는 인과추론 with 파이썬” 스터디를 하고 내용을 정리한 깃허브입니다. https://causalinferencelab.github.io/Smart_Causal_Inference/intro.html 스터디원 : 박상호, 김상돈, 하소희, 안시형, 이명석, 최의관, 김혜민 ...
가짜연구소에서 임상시험 통계 가이드라인을 공부하고 자료를 정리하였습니다. 7기 Let Biostat Guidance Guide Us 팀에서 제작하였습니다. 자료 링크 https://pseudo-lab.github.io/Let-Biostat-Guidance-Guide-Us/intro.html 정리한 자료 Good Clinical Practi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