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식약처 의료기기 임상관련 통계업무

식약처 의료기기 임상관련 통계업무

식약처 의료기기 임상시험

  • 의료기기 임상시험 (의료기기법 시행규칙 별표 3 의료기기 임상시험 관리기준)
    • 임상시험에 사용되는 “의료기기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사람을 대상”으로 시험하거나 연구하는 것을 의미
    • 의료기기 임상시험의 종류 (의료기기 임상시험계획 승인에 관한 규정 제2조)
    • (이미지: 의료기기 임상시험 안내서(민원인 안내서) 2020.11)
    • 주체에 따라
      • 연구자 임상시험
      • 의뢰자 임상시험
    • 목적에 따라
      • 탐색 임상시험
      • 확증 임상시험
    • 확증 임상시험
      • 확증 임상시험의 결과보고서를 통해 제품의 제조허가를 득하게 됨
      • 연구의 과학적 타당성, 신뢰성, 윤리성 등의 모든 측면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근거와 논리가 요구됨
      • 의료기기 허가 기준에 적합한 임상시험에 관한 자료의 생성이 가능하도록 임상시험의 목적에 타당하게 안전성, 유효성에 관한 사항이 상세하게 작성되어야 함 (의료기기 임상시험계획 승인에 관한 규정 제4조)
      •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임상시험

의료기기 임상시험 통계 업무

시험대상자 수 산출 (Sample Size Estimation)

  • 임상시험 계획서
    • 피험자의 선정기준.제외기준.인원 및 그 근거 항목에 반영
  • 필요한 정보
    • 통계 가설
      • 임상시험의 1차 유효성 평가변수에 대하여 설정
        • 해당 의료기기의 주 유효성을 평가하는 변수를 1차 유효성 평가변수로 설정
      • 연구 목적을 검정하기 위한 귀무가설, 대립가설의 형태로 기술
    • 시험대상자 수 산출 공식
      • 설정한 통계 가설에 적합한 공식 선택
        • 비열등성, 동등성, 우월성 검정에 따라 적절한 산출식 선택
      • 통계 프로그램 사용
        • PASS 등
        • 사용한 통계 프로그램의 설정화면 캡쳐하여 제출
    • 산출 parameter 명시
      • 가설 검정을 위한 요소
        • 유의수준, 검정력
      • 산출 공식에 반영된 수치
        • 효과크기, 표준편차, 비열등성 마진 등
        • 과거 연구 결과 문헌, 해당 제품의 탐색 연구 결과 보고서 등 인용한 수치를 확인할 수 있는 근거 자료를 함께 제출해야 함
  • 시험대상자 수 산출 예시
    • (이미지: 의료제품 임상통계 상담사례집 2022.08)

통계 분석방법 기술

  • 임상시험 계획서
    • 평가방법 및 해석방법(통계분석방법에 의함)에 반영
  • 유효성, 안전성 평가변수에 대한 통계분석방법 기술
    • 1차 유효성 평가변수
      • 앞의 대상자 수 산출부분에 설정한 통계 가설과 1차 유효성 통계분석방법이 일치해야 함
        • e.g., sample size는 1차 유효성 평가변수의 비열등성 검정에 대해 구하고, 뒷부분의 통계 분석방법은 통계적 유의성 평가(p < 0.05)로 기술된다면 불일치함
    • 2차 유효성 평가변수, 안전성 평가변수
      • 각 변수에 대해 통계 분석방법을 적합하게 제시
    • 변수의 속성에 맞게 설정
      • 연속형, 범주형 변수를 구분하여 적합한 통계 분석방법 제시
      • 연속형 변수의 군간 비교
        • t-test, Wilcoxon rank sum test, ANOVA 등
      • 범주형 변수의 군간 비교
        •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등
  • 결측치 처리 방법
    • 임상시험에서 결측치가 발생할 경우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계획서에 기술
    • LOCF(Last Observation Carried Forward)
      • LOCF를 적용할 수 있는 임상 시험인지 고려
        • 시술 후 평가 변수에 대한 측정이 2번 이상 이루어져 LOCF 적용이 가능한 경우인지
        •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임상 결과의 개선이 기대되어 LOCF 대체가 보수적인 방향인지 등 고려
  • 모수적, 비모수적 통계 분석
    • 모수, 비모수적 방법 모두 제시할 경우
      • 어떤 경우에 해당 방법을 적용할 지 계획서 상에 미리 명시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